*****복사글 입니다****** 변재신님글
*일반용도(게임,웹서핑..)
- DynaFlat(X포함), Flatron.
DynaFlat 은 완평이 아니라 반평입니다.
반평 위에 유리액을 부어서 겉은 평면으로 만든거죠.
(쓰시는 분 보시면 겉은 평면인데 왠지 모를 굴곡이 느껴지실겁니다.)
Flatron 이 진정한 완평입니다.
하지만, 단가가 비싼...
중소기업 제품에는 대부분 삼성 DynaFlat 브라운관이 쓰이더군요.
그럼 답은 돈이 되면 LG Flatron 브라운관을 쓴 모니터를 쓰시고,
돈이 안된다면 삼성 DynaFlat 을 쓰시면 .....
일단은 둘다 가장 흔하게 볼수 있는 브라운관이고,
영화감상,게임,웹서핑시 가독성이나 화질적인 면에서도
그리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표준적인 수준입니다.
무난합니다.
장점으로는
타 브라운관에 비해 저렴합니다..
Flatron 같은 경우 완전평면이라는데 메리트가 있고,
DynaFlat 은 가독성이 좋습니다.
단점으로는
Flatron 은 타 브라운관에 비해 밝기가 떨어지는 편이고.
DynaFlat 은 평면성이 낮고, 중앙과 끝의 밝기차이가 있습니다.
*2D 작업
- NF Diamondtron.
소니의 FD Trinitron 과 같은 방식이지만,
화질은 그 보다 더 좋습니다.
2D 작업의 생명은 색감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색감이라는 말을 명확히 짚고 넘어갑시다.
색감이라는건 말 그대로 色感. 색의 느낌 이라는 거죠.
그래서, 간혹 '보기 좋은 색' 을
색감이 좋다 라고 하시는 분들 봅니다만,
(라데온 영화감상시에 색감이 자주 언급되더군요.)
그건 아닙니다.
흔히들 말하는 색감이란,
출력물과, 모니터 상의 보이는 색과의 왜곡 정도에 따른 감을
말하는게 정확합니다.
그 출력물 색의 왜곡 정도를 가장 좁혀주는 부품이 바로 모니터 입니다.
그래픽카드가 아무리 좋아도,
모니터가 그 색을 제대로 표현해주지 못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긴 힘들겠죠.
현 미쯔비시의 Diamondtron 브라운관을 사용한 제품은
필립스와 삼성제품이 있습니다.
A/S 에서 차이가 난다고 보시면 되겠죠.
당연 A/S 는 삼성이 좋겠지요.
단점으로는, 값이 비싸며 가독성면에서 떨어집니다.
댐퍼선(어퍼처그릴 고정을 위해 있는 선으로 불량이 아닙니다 - -;)
단점이라면 단점이 되겠지요.
*3D 작업
- ??
개인적인 판단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의견이 분분하더군요..
3D 작업에는 삼성 DynaFlat 이 좋습니다.
3D 작업의 생명은 바로 '선' 이겠죠.
선의 왜곡이 없어야 합니다.
타 브라운관의 경우.
본래, 구 였던 브라운관을 평면 으로 만들다 보니
상단과 하단에 어느정도 선의 왜곡이 있습니다.
그 이유로는,
지도를 그리는 방법 중 메르카토르 도법 이라는게 있습니다.
(흔히들 보는 세계지도가 이 도법으로 그려졌습니다.)
이 도법은 적도 부근을 중심으로 지도를 그리게 되는데,
둥군 지구를 종이에 그리다 보니,
적도 부근은 비교적 정확하게 표현되는 것에 비해.
극지방은 상당한 왜곡이 있게 됩니다.
DynaFlat 같은 경우, 완평이 아니기에
선을 긋는데 어느 정도 불편함은 있겠지만,
타 모니터보다는 나을거라는게 제 판단입니다.
***NF 브라운관의 장점은 휘도가 높아 색감이 우수하여
포토샵 작업에 매우 우수하죠..
'컴퓨터들여다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 부품 조합 맞추기 (0) | 2005.02.23 |
---|---|
CPU 옆에...정품//그레이//세라믹.. (0) | 2005.02.20 |
새 PC 인터넷 접속 바로 하면 낭패 (0) | 2005.02.20 |
인텔 차세대 CPU 시장주류로 뜬다. (0) | 2005.02.20 |
AMD 정품 CPU 구별법!!! (0) | 2005.01.21 |